OSI 7 Layers를 위의 계층부터 나열하자면 이렇다.
- Application layer
- Presentation layer
- Session layer
- Transport layer
- Network layer
- Data Link layer
- Physical layer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받아서 상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application layer와 physical layer는 반드시 필요하다. 나머지 계층은 필요하면 구현하면 된다.
- application layer는 메세지를 생산한다.(사용자 프로그램)
- host(end-system)와 host간의 통신은 network layer를 통해 일어난다.
- transport layer는 process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transport layer의 protocols로 TCP(reliable)과 UDP(unreliable, fast)가 있다.
🍗 application layer와 transport layer 사이에 socket이 있다. - presentation layer는 메세지 표현방식, 계층 암호화, 압축과 관련된 기능이 구현된다. session layer는 동기화와 관련된 기능이 구현된다.
- ISO/OSI reference model에 presentation layer와 session layer가 구현되어 있다.
이 두 계층은 internet stack에서는 필요시 application layer에 구현할 수 있다. - link, physical layer는 LAN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에 구현된다.
- link layer는 인접한 노드를 연결한다.
서버와 호스트간의 통신은 각 application layer의 통신이다.
IP 주소(서버는 고정된 IP값을 지님)를 통해서 host를 찾아가고, port number를 통해서 어떤 process(application layer)에 접근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이렇게 계층을 나누어 서비스를 구현하면 각 계층의 내부에서 기능이 유사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와 업데이트가 쉽다.
필요한 계층만 구현하면 되기에 시스템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다.
하지만 각 계층을 양쪽에서 구현해야 하고 duplicated function, 즉 layer에 중복된 기능이 여러 계층에 중복되어 구현되어 있을 수도 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Scheduling에 대해서 (0) | 2022.12.16 |
---|---|
간단하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알아보기 (0) | 2022.12.14 |
Objective-C 기본 문법 정리하기 (0) | 2022.12.09 |
운영체제에서의 동기화 (0) | 2022.12.01 |
다양한 OpenAPI / API 들 알아보기 (0)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