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느린 첫 로딩을 줄이는 똑똑한 방법React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어느 순간 빌드된 번들 크기가 커져서 페이지 진입이 느려지는 현상을 겪게 된다.그럴 때 자주 듣게 되는 말이 바로 "코드 스플리팅"React 공식적으로는 React.lazy()와 Suspense를 쓰는 걸 권장하지만, 여기엔 살짝 불편한 점도 있다.그래서 나온 게 바로 @loadable/component라고 한다 @loadable/component란?@loadable/component는 React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불러오고, 필요할 때만 로드하는 방식으로 렌더링 최적화를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이다.공식 문서: https://loadable-components.com/ Loadable ComponentsThe recommended Co..
공통 컴포넌트를 개발할 때, 특히 input이 있는 경우 자주 고민하는 문제가 있다. 바로, 상태를 어디서 컨트롤하게 할지 고민하게 되는 것이다. 공통 컴포넌트 외부에서 컨트롤을 주입하여 외부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공통 컴포넌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컨트롤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좀 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는 좀 더 선언적으로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내부 구현이 어떻게 되었든 간에, 기능을 더 손쉽게 외부에서 가져다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근본적으로는 컴포넌트에서 상태 관리의 책임을 어디냐 두느냐, 에 대한 질문도 같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Controlled VS Uncontrolled상태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