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주요한 문법을 카테고리화하면 DDL, DML, DCL로 표현할 수 있다. DBMS에서 DB를 정의하고 조작하며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세가지 언어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개인적으로는 각각의 이니셜의 풀네임만 기억해도 어느정도 카테고리를 파악할 수 있었다.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DDL은 말 그대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언어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CREATE, ALTER, DROP이 있다. table, view, index 등 DB 개체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명령어를 가리킨다. CREATE TABLE users ( id INT PRIMARY KEY, name VARCHAR(50), age IN..
SSH(Secure Shell)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SSH는 보안 및 데이터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고 파일을 전송하거나 명령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SSH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SSH 클라이언트는 로컬 컴퓨터에서 실행되며, 원격 서버에 대한 인증 및 암호화된 통신을 처리한다. SSH 서버는 원격 컴퓨터에서 실행되며,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인증을 검증한 후 암호화된 통신을 설정한다. SSH의 기능과 특징 보안 SSH는 네트워크 통신을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호한다. 암호화된 연결을 통해 비인가자가 데이..
nvm은 역시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node version manager이다. 다만, 각 프로젝트마다 다른 node version을 사용하고 있을 때,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일일히 매번 nvm use 사용버전을 입력해주어야 한다. 물론, cmd 설정을 건드려 .nvmrc의 버전을 자동으로 읽어오게 하는 방법도 있지만, 공식적으로 nvm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아니기에 설정이 번거롭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3556330/run-nvm-use-automatically-every-time-theres-a-nvmrc-file-on-the-directory run `nvm use` automatically every time there's a .nvmrc file on ..
✦ TCP/IP 프로토콜 스위트는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통신규약)의 모음이다. 원래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이라고도 불리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TCP와 IP를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구성되어 TCP/IP 프로토콜 스위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신뢰성있는 연결 지향적인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는 순서대로 loss없이 전달된다. TCP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고, 수신 측에서는 패킷을 재조립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TCP는 패킷 손실, 중복, 순서 변경 등과 같은 문제를 처리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TCP와 UDP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