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브라우저의 창 크기가 변화했을 때, 어떤 액션을 발생시키고 싶다면, 가장 먼저 떠올릴 코드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window.addEventListener('resize', () => { console.log('Window resized!');}); 바로 resize Event이다.위의 코드는 브라우저 창 사이즈 크기를 탐지한다.다만, 특정 DOM의 사이즈 변화는 탐지하지 않기에 개별 Element 사이즈 변화에 대응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는데 그것이 바로 ResizeObserver이다.ResizeObserver는 특정 Element의 크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따라서, 브라우저 창 크기 변화뿐만 아니라 특정 요소의 자체 크기가 변화할 때에도 어떠한 액션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
AWS Submit 2024에서 개발을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해서 들었던 기억이 있다.그건 바로 "비용"인데, 비용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한다면 프로그래밍 언어부터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적게 사용하는 그런 고성능의 언어를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 이야기를 듣고 떠올렸던 게 바로 FE 개발 환경에 사용되는 bundler, compiler, formatter 같은 개발 툴들이 Rust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었다. AWS를 사용할 때 Rust를 사용해서 비용이 낮아질까?👻 적은 메모리를 사용 -> 더 작은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비용 절감) Rust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니는 언어로, 개발자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올라가고 있는 언어이다.Rus..
Biome.js는 Rust로 작성된 prettier와 eslint를 합친 기능을 가지는 FE lint, formatter 라이브러리이다.https://biomejs.dev/ BiomeFormat, lint, and more in a fraction of a second.biomejs.devBiome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빠르다는 점이다.빠른 이유는 Rust로 작성되었기 때문인데, 최근 FE 개발 생태계에서 등장하고 있는 Rust로 작성된 라이브러리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이외에도 Rust로 작성된 라이브러리는 turbopack, swc, farm등이 있다) 아쉬운 점으로는 아직 eslint가 쌓아온 생태계를 따라오지 못하기 때문에 커스텀에 제약이 있을 수 있는 점이다.👻 예를 들면, bi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