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자바스크립트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인 이벤트 루프에 대해서 알아보고 블로그에 기록을 남기기로 하였다. 자바스크립트가 싱글 스레드인 이유는 콜 스택이 단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적으로 코드가 실행된다. 🍌 하나의 작업이 끝나지 않았어도 다른 작업을 호출할 수 있다. 이렇게 자바스크립트가 작동될 수 있는 이유는 이벤트 루프에 있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 내부에 Memory Heap과 Call Stack이 존재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실행이 되야할 함수는 모두 콜 스택에 쌓이게 된다. 메모리 힙은 객체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실행 컨텍스트는 힙에 저장된 객체를 참조한다. 🥦 브라우저에 존재하는 Web API는 AJAX나 setTimeout, setInterval 등의 타이머 함..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를 사용한 웹페이지를 방문했을 때, 웹페이지가 새로운 데이터로 갱신되었다면 필요한 부분에 필요한 데이터만 비동기적으로 받아와 렌더링 된다. Ajax는 자바스크립트와 DOM, 그리고 Fetch라는 핵심 기술로 구성된다. 과거 웹페이지는 form 태그를 통해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새로운 웹페이지를 제공해야 했다. (즉, 매번 새로운 웹페이지(HTML)를 제공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DOM을 제어할 수 있고, Fetch를 통해서 사용자가 웹페이지에서 작업하는 동안 서버와 통신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요한 부분만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Ajax 기술의 발전으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
즉시 실행 함수는 말 그대로 선언과 동시에 즉시 실행되는 함수이다. 과거에는 이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생각했지만 지나고보니 자바스크립트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문법이었다. 웹팩에서도 즉시 실행 함수를 통해서 js의 스코프 이슈를 해결했다고 하니, 알아두는 편이 좋다.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function(){ let i = 0; console.log(`변수i는 ${i}이다.`); })(); 이 js 파일을 실행하면 바로 콘솔창에 '변수i는 0이다'가 찍힐 것이다. (() => { let i = 0; console.log(`변수i는 ${i}이다.`); })(); 화살표 함수로도 표현할 수 있다. 즉시 실행될 함수이기에, 익명함수로 작성하여도 문제없다. 기본적인 형태는 말 그대로 () => {}..
설치 cra의 경우 tailwindcss의 설치만 하면 된다. develop 옵션을 주어 설치해준다. npm install -D tailwindcss npx tailwindcss init next.js의 경우 추가적인 라이브러리의 설치가 더 필요하다. npm install -D tailwindcss postcss autoprefixer npx tailwindcss init -p npx tailwindcss init -p를 통해서 tailwind.config.js 파일이 최상단에 자동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tailwind.config.js 작성하기 cra의 경우 /** @type {import('tailwindcss').Config} */ module.exports = { content: [ "./src/..
싱글톤패턴은 프로세스 내부에서 클래스가 단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static 영역에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자가 실행되었을 때 기존에 생성된 인스턴스가 있으면 다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기존의 것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클래스 문법으로 이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클로저 문법을 이용하여 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Class 문법으로 구현 class Key { static #_instance; constructor() { if(!Key.#_instance) { Key.#_instance = this } return Key.#_instance; } static getInstance() { return Key.#_..
blob은 전에도 사용한 적이 있지만, 이번에 다시 사용하며 사용한 내용을 정리하기로 하였다. Blob은 JavaScript 네이티브 형태가 아닌 데이터또한 표현할 수 있다. File이 Blob에 기반한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시스템의 파일을 지원하기 위해 Blob 인터페이스를 상속해 기능을 확장한 것이다. Blob과 File은 생성자를 통해서 인스턴스를 만든다. impor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const IoComponent = ({setTexts, texts}) => { const [url, setUrl] = useState(""); useEffect(() => { const blob = new Blob([texts], {type: "text/pl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