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React를 사용하면 useState를 통해서 데이터를 바꿔서 DOM을 다시 그리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생각해보면, 순수 자바스크립트로 화면을 바꾸고자 한다면 DOM에서 element를 찾은 뒤에 데이터를 직접 수정해줘야 하는 부분이다. 그래서 어떻게 React는 이런 반응성, Reactivity를 구현했을까 고민해보고 자바스립트의 Proxy 객체를 사용해서 State를 비슷하게 구현해보자 하였다. 🙌 직접 구현한 예제 최대한 React와 비슷하게 구현해보려고 노력했다. 다음은 구현한 코드 내용인데, 일단 HTML이다. root에 element가 삽입되는 것으로 생각했고, 하나의 js를 통해서 이를 통제할 수 있도록 구현해봤다. Proxy를 사용해서 구현했는데, Proxy..
타입스크립트에서 타입 가드는 런타임에 변수의 타입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타입스크립트가 해당 변수의 타입을 특정 블록 안에서 더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다. 타입 가드를 잘 활용하면 코드의 타입 안전성을 높이고,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때문에 타입가드를 잘 사용하는 것은 타입스크립트에서 중요하다.타입가드에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았다. 1. 타입 단언(`as` 키워드) - 추천하지 않음타입 단언은 변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다.let str: string | undefined;str = "Hi" as string; 그러나 런타임에 아무런 검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단언으로 인해 런타임 에러를 유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