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복잡한 React 컴포넌트를 작성할 때, 은근 골치아픈게 memo, useMemo, useCallback과 같은 최적화이다. 물론, 최적화에 신경쓰지 않는다면 안써도 되는 경우도 많지만.useEffect 내부에서 상태를 변화시키는 함수를 호출시키는 경우에 이 함수는 useCallback으로 감싸져야 하며, 때때로 조건부 렌더링 컴포넌트는 memo로 최적화 시켜야 무한 렌더링을 방지할 수 있는 등등 여러 경우에 이런 최적화 코드는 필수가 될 때가 있다. (lint가 함수를 새빨갛게 표시하는 순간, useCallback을 써야하는 상황이라는 걸 바로 알 수 있다.... 💧) 때문에!React 19 버전의 발표를 유심히 본 사람들이라면, React Compiler의 존재를 보고 매우 기뻤을지도 모른다.(그리..
웹 페이지에서 링크를 클릭하거나 브라우저의 '뒤로' 버튼을 누를 때, 페이지가 빠르게 로드되는 것을 경험한 적이 있으신가요? 뒤로가기, 앞으로가기 성능의 최적화를 위해서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캐싱 기능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BFCache이다! 이번엔 BFCache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스터디를 진행했다. 👍 ✨ BFCache(Back-Forward Cache)란?BFCache(Back-Forward Cache)는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앞으로', '뒤로' 버튼을 눌렀을 때 페이지 로딩 시간을 단축해주는 브라우저의 캐시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페이지를 새로 로드하면 서버와 데이터를 다시 주고받아야 하지만, BFCache를 사용하면 기존에 로드된 페이지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